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짜장라면 근본 짜파게티 탄생부터 현재까지

by jmthmt 2023. 1. 15.
반응형

국내라면시장에는 정말 다양한 라면이 있습니다. 국물 없는 라면종류를 보면 비빔면과 짜장라면이 대표적인데, 비빔면은 '팔도 비빔면'이 왕좌를 차지하고 있고, 짜장라면은 누가 뭐래도 '농심 짜파게티'가 압도적입니다. 짜파게티는 그 옛날부터 지금까지 압도적인 판매량을 항상 유지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였을까요?

농심 짜파게티
<짜파게티>

차별화된 제품으로 승부

롯데공업 창업주 신춘호 회장은 형인 신격호 회장에게 라면사업을 제안했으나 크게 반대하여 결국 사이가 크게 틀어져 독립적인 길을 가게됩니다. 창립 첫 해 서울에 라면공장을 세우고 '롯데라면'을 출시했지만, 당시 한국라면시장엔 삼양라면이라는 큰 벽이 존재했습니다. 1970년 국내최초 짜장라면 '롯데 짜장면'을 출시하면서 승부수를 띄웁니다. 당시 짜장면이 인기 있는 외식메뉴 였지만 가격이 좀 비쌌다고 합니다. 저렴한 가격에 짜장맛이 나는 롯데 짜장면은 큰 인기를 얻게 됩니다. 국물라면이 주류였던 시장에서 비벼 먹는 라면은 틈새시장을 제대로 공략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짜장라면의 인기에는 국민과자 '새우깡' 이 한몫하게 됩니다. 1971년 대한민국에는 스낵이라는 과자가 생소했고, 롯데공업에서 새우맛 스낵인 새우깡을 출시하면서 스낵시장을 오픈하게 됩니다. 새우깡의 인기는 엄청나서 출시 후 회사매출을 매년 2배씩 뛰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시작으로 삼양라면 아니면 거들떠보지도 않던 도매상들이 새우깡을 받기 위해 롯데공업라면을 받기 시작합니다.

 

주류가 된 짜짱라면

새우깡 출시 이후 매출이 급성장한 롯데공업은 생산설비구축에 엄청난 돈을 쏟아부으며 삼양과의 격차를 좁혀나가기 위해 사활을 겁니다. 1978년 삼선짜장면 출시 1983년 롯데짜장면을 리뉴얼해서 '농심 짜장면'을 출시하게 됩니다. 그리고 1984년 모두가 알고 있는 '짜파게티'가 등장합니다. 짜장소스에 스파게티면을 비벼먹는다는 뜻으로 볶은 간짜장맛을 표방했다고 합니다. 기존 짜장라면 과는 다르게 건조수프를 이용한 게 특징이었습니다. '일요일은 내가 짜파게티 요리사'라는 말이 이 당시 광고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짜장라면이 큰 인기를  얻게 되자 경쟁업체들도 연이어 비슷한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합니다. 삼양에서 짜장면+마카로니 '짜짜로니'를 출시하는데, 짜파게티를 모방한 제품으로 조리법, 맛 모두 비슷했습니다. 1994년 액상스프를 도입해서 차별화를 두긴 하지만 짜파게티의 판매량에는 변화를 주지 못합니다. 타회사도 제품을 내놓긴 했지만, 전부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이후 농심에서 2015년 새로운 짜장라면 '짜왕'을 출시하는데 이게 또 대박이 납니다. 신동원 회장이 당시 부회장이던 시절, 경영권을 물려받고 나서 짜파게티를 능가하는 짜장라면을 개발하려 했고 2년의 준비개발 과정을 거쳐 출시된 게 짜왕입니다. 출시한 달만에 600만 봉지가 판매되면서 구하기도 매우 힘든 제품이 되었습니다. 당시 짜왕을 라면계의 허니버터칩이라고 했다네요. 짜왕의 인기는 전체 라면시장을 12.5% 끌어올리는 쾌거를 이루게 됩니다.

 

농심에게 짜파게티란

짜왕이 프리미엄 중화라면 시장을 열면서 국물라면 1위 신라면을 제치고 전체 라면매출 1위를 기록하게 되었지만, 이상하게도 몇 년 되지 않아 소비자들은 귀신같이 짜파게티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 특유의 맛과 소비자가 개발한 다양한 레시피들이 그 이유인 듯합니다. 2013년 2월 MBC '아빠 어디 가'에서 취사병 출신 방송인 김성주가 아들에게 끓여준 '짜파구리'를 가수 윤민수 아들 '윤후'가 먹는 장면이 방송을 타서 화제가 된 장면을 기억하실 겁니다.

 

또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서도 한우를 넣은 짜파구리가 나와서 주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 외 '불닭게티' '짜계치'등 인터넷상에는 짜파게티를 이용한 조리법이 정말 다양합니다. 농심에게 짜파게티는 첫 히트작으로서 의미가 있는 제품입니다. 80년대 초반 너구리, 안심탕면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면서 삼양라면을 바짝 추격했고, 짜파게티의 등장 후 삼양을 추월하게 됩니다. 짜파게티가 없었다면 지금의 농심도 없었을 겁니다. 시장점유율 80%, 이런 제품이 앞으로도 등장할 수 있을까요?

 

 

반응형

댓글